ipconfig : 모든 어댑터에 대한 IPv4 alc IPv6 주소, 서비스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 웨이를 표시

이더넷 어댑터 : 물리적 네트워크 연결 (유선 LAN 케이블)
vEthernet(브이이더넷) : 가상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 이더넷 어댑터 = LAN 카드 =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Card)
~~~~~~ ⇐ LAN 영역에서 사용하는 통신기술 중 하나. 사실상 표준(de facto standard)
미디어 상태 . . . . . . . . : 미디어 연결 끊김
연결별 DNS 접미사. . . . :
무선 LAN 어댑터 Wi-Fi:
연결별 DNS 접미사. . . . :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7b43:69b8:e867:9613%11 ⇐ 128비트로 구성된 IP 주소
IPv4 주소 . . . . . . . . . : 192 . 168 . 38 . 114 ⇐ 32비트로 구성된 IP 주소
|네트워크주소| |호스트주소|
네트워크주소 : 호스트들을 모은 네트워크
호스트주소 : 하나의 네트워크에내에 존재하는 호스트를 구분하기위한주소.
네트워크주소가 동일한 네트워크 : 로컬네트워크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0.0 0.0.0.0 ~ 255.255.255.255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192.168.35.1
IP 주소 (Internet Protocol) 주소
IPv4 주소를 표기할 때는 8bit 옥텟(Octet)으로 나누고, 각 옥텟을 콤마(.)로 구분 > 10진수로 표기하면 0~255 값을 사용
192.168.0.1 > 1100 0000 . 1010 . 1000 . 0000 0000 . 0000 0001
네트워크 > 동일한 영역내의 집단을 연결하는것.
id : 유니크
class : 비슷한것들끼리 묶어둔것
IP 주소의 등급(클래스)
class
|
1st octet
|
2nd octet
|
3rd octet
|
4th octet
|
||||||||||||||||||||||||||||
A
|
0
|
Network Address
0 ~ 127 |
Host Address
0.0.0 ~ 255.255.255 |
|||||||||||||||||||||||||||||
B
|
1
|
0
|
Network Address
128.0 ~ 191.255 |
Host Address
0.0.0 ~ 255.255.255 |
||||||||||||||||||||||||||||
C
|
1
|
1
|
0
|
Network Address
192.0.0 ~ 223.255.255 |
Host Address
0.0.0 ~ 255.255.255 |
|||||||||||||||||||||||||||
D
|
1
|
1
|
1
|
0
|
Multicast Address
224.0.0.0 ~ 239.255.255.255 |
|||||||||||||||||||||||||||
E
|
1
|
1
|
1
|
1
|
Reserved
240.0.0.0 ~ 255.255.255.255 |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에 의한 IP주소 할당
203 255 208 222 /23(네트워크 23번째까지 사용)
11001011 11111111 1101000 11011110
<---------------네트워크-----------><-----호스트---->
110으로 시작하기때문에 C클래스임.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IP 주소를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분하는 방법
서브넷 마스크 값을 조정해 네트워크 영역을 조절
IP Subnet mask 네트워크 ID 호스트 ID
10.10.10.10 255.0.0.0 10 10.10.10
176.16.10.10 255.255.0.0 176.16 10.10
192.168.10.10 255.255.255.0 192.168.10 10
특수 목적으로 예약된 IPv4 주소 ⇒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5735
RFC 5735: Special Use IPv4 Addresses
This document obsoletes RFC 3330. It describes the global and other specialized IPv4 address blocks that have been assigned by the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IANA). It does not address IPv4 address space assigned to operators and users through th
datatracker.ietf.org
기본 게이트웨이 = 라우터(router)
| SW 측면 | | HW 측면 |
각기 다른 네트워크 ID를 사용하는 LAN 영영ㄱ 사이를 연결해주는 기능
라우팅 vs 스위칭
라우팅 : 다른 네트워크 ID를 사용하는 LAN 영역 사이를 (외부로돌림 / 전화국끼리 연결)
스위칭: LAN 영역에서 MAC 주소에 기반해 내부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 내부로 돌림 / 지역사람들끼리 연결)
네트워크 계층별 장비
L1 (물리계층) - Repeater, Hub
L2 (데이터 링크 계층) - Switch, Bridge
L3(네트워크 계층) - Router, L3 Switch
DNS(Domain Name System) 서버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의 대응 관계를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저장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전체주소도메인네임) >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 이름을 포함한 전체 도메인 이름
명명규칙
- 도메인 계층은 최대 128계층까지 구성할 수 있음.
- 계층별 길이는 63byte 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메인 계층 구분자(.)를 포함해 전체 도메인 네임의 길이는 최대 255byte 까지 사용할 수 있음
- 사용할 수 있는 문자는 알파벳, 숫자, "_" 만 사용가능 / 대소문자 구분 X
Root 도메인
- 도메인을 구분하는 최상위 영역
- DNS 서버를 설치하면 루트 DNS의 IP주소를 기록한 힌트(hint) 파일을 가지고있어 루트DNS 관련 정보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음.
구분
|
관리기관
|
운영 사이트 수
|
||
합계
|
IPv4/v6
|
IPv4 전용
|
||
A.root-servers.net
|
Verisign, Inc.
|
58
|
58
|
0
|
B.root-servers.net
|
Information Sciences Institute
|
6
|
6
|
0
|
C.root-servers.net
|
Cogent Communications
|
12
|
12
|
0
|
D.root-servers.net
|
University of Maryland
|
181
|
181
|
0
|
E.root-servers.net
|
NASA Ames Research Center
|
254
|
247
|
7
|
F.root-servers.net
|
Internet Systems Consortium, Inc.
|
334
|
294
|
40
|
G.root-servers.net
|
Defense Information Systems Agency
|
6
|
6
|
0
|
H.root-servers.net
|
U.S. Army DEVCOM Army Research Lab
|
12
|
12
|
0
|
I.root-servers.net
|
Netnod
|
68
|
65
|
3
|
J.root-servers.net
|
Verisign, Inc.
|
163
|
148
|
15
|
K.root-servers.net
|
RIPE NCC
|
97
|
97
|
0
|
L.root-servers.net
|
ICANN
|
192
|
159
|
33
|
M.root-servers.net
|
WIDE Project
|
11
|
11
|
0
|
합계
|
1,394
|
1,296
|
98
|
TLD(Top-Level Domain)
- IANA 에서 6가지 유형으로 구분
- https://www.iana.org/domains/root/db
- generic (gTLD)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최상위 도메인으로 세글자 이상으로 구성
- 1980년대 7개의 gTDL(.com, .edu, .gov, .int, .mil, .net, .org)로 시작
- contry-code (ccTLD)
- ISO 3166 표준에 규정된 두글자의 국가코드를 사용 (우리나라 : kr)
- 일반적으로 ccTLD를 사용할때, second Level TLD 에 gTLD에서 구분한것과 같은 용도에 따른 코드를 함께 사용.(co.kr) = (com.kr) 등..
- sponsored(sTLD)
- infrastructure
- generic-restricted (grTLD)
- test (tTLD)
- generic (gTLD)
DNS 영역 파일 (zone file) 주요 레코드
- A IPv4 호스트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IPv4)로 매핑
- AAAA IPv6 호스트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IPv6)로 매핑
- CNAME 별칭 도메인 주소에 대한 별칭
- SOA 권한 시작 본 영역 데이터에 대한 권한
- NS 도메인 네임 서버 본 영역에 대한 네임 서버
- MX 메일 교환기 도메인에 대한 메일 서버 정보(Mail eXchanger)
- PTR 포인터 IP 주소를 도메인에 매핑(역방향)
TXT 레코드 도메인에 대한 일반 텍스트
'클라우드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Kubernetes, Cloud Native (0) | 2024.09.12 |
---|---|
우분투 이미지에 Nginx 설치 (0) | 2024.09.10 |
Vagrant를 이용하여 Ubuntu 리눅스 및 nginx 설치 (2) | 2024.09.10 |